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MVNO(가상이동망사업자-알뜰폰)의 개념 및 장단점 정리

  MVNO(알뜰폰)을 사용한지 약 반년이 되어 가는데 요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무료통화(이미 사용자가 데이터요금을 지불하고, 자신에게 할당된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료통화라는 용어가 부적절 하다는 주장도 있습니다)와 스마트폰 요금이 이슈가 되고 있어 관련 이야기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MVNO(가상 이동망 사업자)란
  통신망을 설치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통신사(KT, SKT, LG U+)와는 달리, 이들 통신사로부터 통신망을 빌려와서 사업을 제공하는 업체들을 말합니다.


  즉, KT MVNO라고 하면 KT에서 설치한 망을 빌려와서 소비자에게 다시 이용요금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MVNO 사업자에 의하면)통신사들로부터 망을 빌려와서 서비스 하므로 동일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통화 사용량이 많지는 않지만 제 경험상 품질이 떨어지는건 못느꼈습니다.)



2. 장점

  • 기존 통신사 대비 저렴한 요금상품(MVNO 사업자에 따라서 기본료가 아예 없어 사용한 만큼 요금을 지불하는 요금제도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전 지난달 요금이 8천원 정도 나왔습니다.)

  • 자신의 사용 패턴에 따른 요금 조절가능.
    (예를들어, 데이터 사용량이 많고 음성,문자 사용이 적다면 기본료가 0원인 요금제에 월정액 데이터 부가서비스를 신청하여 쓸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요금제는 기본료가 4500원 짜리인데, 이 사업자가 제공하는 월정액 1만원의 데이터 부가서비스 500M를 신청하면 월 14500원에 데이터 500M사용이 가능합니다.



3. 단점

  • 아무래도 고객센터 연결,홈페이지 지원 등의 서비스가 불편합니다. 개통할 때 고객센터에 전화하면 대기자가 많아 꽤 오래 기다려야 했습니다.

  • (미확인된 정보) 일정량 이상 사용하지 않으면 사업자 측에서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약관을 꼼꼼히 살피는게 필요할듯 합니다.다만 전에 핸드폰을 구입하면서 통신사 약정을 보니 월 몇분 이상 통화가 발생해야 한다는 실사용 조건이 있었는데 그게 와전된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4. 결론

  • 자신의 단말기 사용패턴을 잘 고려하신 뒤 결정하시면 됩니다.
  • MVNO간의 번호이동은 번호이동 하고자 하는 사업자에게 문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 가입비등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 가입 신청을 하면 가입비를 면제해주는 곳도 있으니 사전 정보 수집은 필수.



5. MVNO 사업자 안내

  • SKT망 한국케이블텔레콤(KCT)
  • KT망 MVNO사업자는 CJ헬로비전, 프리텔레콤, 에넥스텔레콤, 에버그린모바일, 씨엔커뮤니케이션, 위너스텔, KT파워텔
  • LGU+망 MVNO사업자는 몬티스타텔레콤, 씨엔엠브이엔오, 비앤에스솔루션, 자티전자, 에프아이텔, 리더스텔레콤 등이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개인용 요금제가 없거나 선불 요금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표로 정리된 내용을 보시려면 아래 링크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http://k.daum.net/qna/view.html?qid=4o3zC, DAUM지식과 국민신문고가 연동된 것으로 방송통신위원회의 공식 자료입니다.